미국 깃랩(GitLab)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입니다. 비즈니스 모델, 최근 실적, 장단점, 산업 전망, 경쟁사를 분석하여 목표 주가를 제시합니다. 글 하단에 미국 유명 증권사 추천 종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깃랩 기업 모델 분석 (Business Model)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
깃랩은 주로 소프트웨어 구독 서비스를 통해 돈을 번다. 사람들이 음악을 듣기 위해 매달 요금을 내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듯, 기업들은 GitLab이라는 개발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매달 또는 매년 요금을 내고 구독한다. 이게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일부 고객은 이 도구를 자기 회사 서버에 설치해서 쓰는 영구 사용권(라이선스)을 구입하기도 하고, 깃랩이 직접 교육이나 설치 도와주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돈을 벌고 있다.
구독·지원 매출이 전체의 89%(2025 회계연도 기준)로 핵심이며, 형태는 셀프매니지드(온프레미스/하이브리드) SaaS (멀티·싱글테넌트) 두 가지다.
구독은 ‘Free–Premium–Ultimate’ 3단계로 가격과 기능을 차등화해 비유료 사용자까지 생태계에 묶어 두는 구조다.
회사의 제품이 왜 필요한가?
기업들이 새로운 앱이나 프로그램을 빠르게, 안전하게 만들어야 하는 시대다. 그런데 프로그램을 만들고 테스트하고 보안 점검까지 하려면 여러 가지 복잡한 도구를 써야 한다.
이때 깃랩은 이런 모든 과정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덕분에 개발자들은 도구를 이리저리 바꿔가며 쓰지 않아도 되고,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품질도 높일 수 있다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 주기는 얼마나 되는가?
대부분의 기업들은 깃랩을 사용할 때 1년~3년 단위로 계약을 맺는다. 보통 1년에 한 번씩 돈을 내는 방식이다. 깃랩은 계속해서 업데이트와 고객 지원을 제공하므로, 기업들은 보통 계약 기간이 끝나면 다시 연장한다.
회사의 고객사는 누구인가?
구분 | 2025 FY 매출(백만$) | 비중 | 특징 |
---|---|---|---|
미국 | 618.7 | 82% | 공공·대기업 비중 높음 |
유럽 | 122.7 | 16% | EU 규제 대응 수요 확대 |
아시아-태평양 | 17.9 | 2% | 호주, 인도 초기 확장 단계 |
- Goldman Sachs (골드만삭스)
- T-Mobile (티모바일)
- Lockheed Martin (록히드 마틴)
- UBS (스위스 대형 금융기관)
- Ticketmaster (티켓마스터)
- NASA (미국 항공우주국)
- BMW (독일 자동차 기업)
- Delta Air Lines (델타항공)
- Ericsson (에릭슨, 스웨덴 통신장비 회사)
- Siemens (지멘스, 독일 대형 전자·전기기업)
깃랩 비즈니스 전략은 무엇인가?

1. 연구개발과 인수(예: Oxeye, Rezilion)를 통해 보안·테스트·AI 기능을 DevSecOps 전 단계로 확장
2. 무료 티어→셀프-서비스 구매→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로 점진적 업셀
3. 멀티·싱글테넌트 SaaS(“GitLab Dedicated”) 비중을 키워 반복 매출을 확대
*SaaS란? Software as a Service의 약자,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바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예전에는 프로그램을 직접 컴퓨터에 설치해서 써야 했지만, SaaS는 웹사이트에 접속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
깃랩 주가에 미치는 리스크 요인 무엇인가?
1. Microsoft GitHub 같은 플랫폼과 수많은 포인트 솔루션과의 경쟁이 격화되면 고객 유치·유지가 둔화돼 성장률이 낮아질 수 있음
2. 대규모 침해 사고가 발생하면 서비스 중단·규제 벌금·신뢰 하락으로 매출과 비용 구조에 타격
3. 데이터 보호, 수출 규제, 반독점 등 각국 법규 변화가 제품 제공 방식·비용에 영향을 미치며, 소송·제재 가능성도 존재
깃랩 실적 (Income Statement)
항목 | 2022 | 2023 | 2024 | 2025 |
---|---|---|---|---|
매출액 | 253 | 424 | 580 | 759 |
매출원가 | 30 | 52 | 59 | 85 |
판매비와관리비 | 352 | 584 | 717 | 817 |
영업이익 | -129 | -211 | -196 | -143 |
영업이익률 (%) | -51.0 | -49.8 | -33.8 | -18.8 |
당기순이익 | -155 | -173 | -426 | -6 |
당기순이익률 (%) | -61.3 | -40.8 | -73.4 | -0.8 |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률 추이 비교
항목 | 2022 | 2023 | 2024 | 2025 |
---|---|---|---|---|
매출액 증가율 (%) | 66.4 | 67.6 | 36.8 | 30.7 |
영업이익 증가율 (%) | 39.7 | -63.6 | 7.1 | 27.0 |
연도별 매출 원가율과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 | 2022 | 2023 | 2024 | 2025 |
---|---|---|---|---|
매출원가율 (%) | 11.9 | 12.3 | 10.2 | 11.2 |
판매비와관리비율 (%) | 139.1 | 137.7 | 123.6 | 107.7 |
매출액 대비 매출 원가율은 수익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장 중요하다. 다른말로 매출총이익률이라고도 한다.
매출 원가율과 판관비율이 매년 증가한다면 기업에서 비용관리 능력이 부족하거나, 수입하는 원자재 가격의 통제력이 없다고 봐야한다. 그래서 이익률 변동성이 매우 심해서 그 산업을 이해 못하는 주식초보자들은 수익내기가 힘들다.
깃랩 최근 배당률 및 지급일
깃랩은 지금까지 배당금을 지급한적이 없다.
깃랩 장점 및 단점은 무엇인가?
아래 4개의 판단기준의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1. 무형자산의 유무 (브랜드 가치, 특허 기술, 디자인, 소프트웨어)
무형자산이란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회사에 가치를 제공하는 자산을 말한다.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의 특징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깃랩은 오픈소스 기반의 DevOps 플랫폼으로,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자체 플랫폼에 통합된 다양한 기능(버전 관리, CI/CD, 보안 기능 등)과 관련된 특허 및 지식 자산도 존재한다.
2. 전환비용 유무
전환 비용은 소비자가 한 제품에서 다른 제품으로 바꿀 때 발생하는 비용이나 불편함을 말한다.
깃랩은 기업 고객이 자체 개발 파이프라인 전체를 GitLab 플랫폼에 구축하게끔 유도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는 개발, 배포, 보안, 협업 도구가 모두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일단 사용하면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데 상당한 기술적/조직적 비용이 발생한다.
3.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 효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그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깃랩은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반으로 출발했지만, 현재의 SaaS 형태의 GitLab은 제한적인 네트워크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사용자가 사용한다고 해서 플랫폼의 본질적인 가치(기능, 성능 등)가 직접적으로 개선되지는 않는다.
4. 원가우위
경쟁사보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회사
깃랩은 SaaS 모델로 운영되며, 추가 사용자 확보에 따른 비용 증가가 제한적이다. 운영 인프라(AWS 등 클라우드 기반)와 개발 조직은 상대적으로 고정비 비중이 높기 때문에, 고객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 개선되는 구조다.
산업 성장률 및 시장 규모
세부 영역 | 연평균 성장률(CAGR) | 2030/33년 전망치 |
---|---|---|
DevOps 플랫폼(전체) | 19.9 % (’25–’33) | 811.4억 달러 (’33) |
DevSecOps 툴(보안 통합) | 13.2 % (’25–’30) | 165 억 달러 (’30 추정) |
소스 코드 호스팅 | 8.9 % (’25–’33) | 108.4억 달러 (’33) |
깃랩 경쟁사 비교 및 시장 점유율
구분 | 등록 개발자 수 | 강점 |
---|---|---|
GitHub (MS) | 1억 명+ | 세계 최대 커뮤니티·Copilot·액션즈 |
GitLab | 4천만 명+ | 단일 데이터모델·Dev‒Sec‒Ops 통합·AI Duo |
Bitbucket (Atlassian) | 1,500만 명(추정) | Jira·Confluence 연동, 중소팀 친화 |
AWS CodeCatalyst / Azure DevOps / CircleCI 등 | 공개 수치 미미 | 기존 클라우드·CI 고객 기반 |
깃랩 주가 전망에 미치는 요소는?
1. AI·고급 티어(Ultimate) 확산 속도
2. GitHub Copilot 패키징, MS·AWS 번들 전략이 강화될 경우 업셀 속도 둔화·디스카운트 위험
3. 총이익률 88% 영업마진 13%에서 추가 레버리지가 나오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
미국 증권사 추천 종목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투자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