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본코리아 주가 전망 분석입니다. 백종원 대표 더본코리아 비즈니스 모델, 최근 실적, 장단점, 외식 산업 전망, 경쟁사를 분석하여 목표 주가를 제시합니다. 현재 보유종목 수익은 홈페이지에 있으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본코리아 기업 모델 분석 (Business Model)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
더본코리아의 비즈니스 모델은 주요 사업인 외식 프랜차이즈를 기반으로 한다. 이 회사는 프랜차이즈 본사(가맹본부)와 가맹점 간의 가맹계약을 통해 사업을 운영하며, 본사는 브랜드와 상표, 제조 레시피, 운영 매뉴얼, 공급품 등을 가맹점에 제공하고, 가맹점(개인)은 이를 활용해 독립적으로 운영한다. 가맹점은 본사로부터 지속적인 지원과 교육을 받고, 이에 대한 대가로 로열티와 가맹비를 지불한다.
매출액이 높은 브랜드 순서 (2024년 상반기 기준)
- 빽다방 – 37.3%
- 홍콩반점 – 12.7%
- 롤링파스터 – 5.79%
- 역전우동 – 5.38%
- 빽보이피자 – 5.30%
이 프랜차이즈 모델의 특징은 표준화된 시스템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있으며, POS 및 ERP 시스템, 교육 훈련, 법적 관리 시스템 등의 관리 체계를 갖추어 브랜드의 일관성과 차별성을 유지하고 있다.
더본코리아는 25개 이상의 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외식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매출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가맹 매출: 가맹점에서 발생하는 수익
- 직영점 매출: 직접 운영하는 매장에서 발생하는 매출
- 기타 매출: 배달 및 온라인 판매, 호텔 내 서비스 등의 매출
- 임대 수익: 일부 사업에서 임대 형태의 수익을 통해 추가 매출을 발생
더본코리아가 상장 후 장기적은 목표는?
더본코리아의 장기적인 목표는 외식 프랜차이즈와 관련한 사업 확장과 밸류체인 확대다. 회사는 향후 F&B 업종 관련 회사에 대한 M&A와 지분투자를 통해 사업적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2027년까지 약 935억 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보유한 현금 및 금융 자산을 활용해 외식 산업 내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한다.
회사의 고객사는 누구인가?
더본코리아의 주요 고객은 외식 구매력이 높은 23~30대 직장인 여성 고객의 비중이 높다. 대표 브랜드인 빽다방의 경우, 2023년 기준으로 전체 검색 고객의 83.6%가 20~40대이며, 그중 여성 고객이 66.3%를 차지하고 있다.
더본코리아 주가에 미치는 리스크 요인 무엇인가?

1. 저가 커피 시장을 포함한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은 진입장벽이 낮아 신규 경쟁자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이로 인해 가격 할인 등의 경쟁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매출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간편식 시장은 대기업과 유통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해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마케팅 비용 증가와 가격 경쟁이 더해지면 수익성이 악화된다.
3. 외식 산업은 소비자 심리에 민감하며, 경기 불황이나 외부 충격(예: 코로나19, 기후 악화)으로 인해 소비가 위축될 경우 실적이 감소할 위험이 있다.
4. 주요 원재료인 농축산물 가격이 전염병, 지정학적 사건 등으로 크게 변동할 수 있으며, 원재료 수급이 어려워질 경우 비용이 증가하여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다.
더본코리아 실적 (Income Statement)
항목 | 2021 | 2022 | 2023 | 2024 반기 |
매출액 | 194,147,783,438 | 282,176,937,237 | 410,657,834,107 | 221,265,888,920 |
매출원가 | 110,872,339,370 | 172,679,322,143 | 272,242,330,554 | 147,045,058,784 |
판매비와 관리비 | 63,801,851,670 | 83,737,561,511 | 112,821,722,069 | 58,439,735,504 |
영업이익 | 19,473,592,398 | 25,760,053,583 | 25,593,781,484 | 15,781,094,632 |
영업이익률 (%) | 10.03% | 9.13% | 6.23% | 7.13% |
당기순이익 | 11,646,903,785 | 15,959,544,523 | 20,914,829,443 | 13,010,322,611 |
당기순이익률 (%) | 6.00% | 5.66% | 5.09% | 5.88% |
회사의 매출액은 2023년까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6~10% 사이로 낮은 수준이며, 당기순이익률은 5~6% 수준이다.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률 추이 비교
항목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45.36% | 45.54% |
영업이익 증가율 | 32.25% | -0.65% |
연도별 매출 원가율과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 | 2021 | 2022 | 2023 | 2024 반기 |
매출원가율 (%) | 57.10% | 61.19% | 66.27% | 66.46% |
판매비와 관리비율 (%) | 32.86% | 29.67% | 27.48% | 26.42% |
회사의 매출원가율은 57~66% 이며 매년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다만 판관비율은 매년 조금씩 내려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왜 회사의 영업이익률이 하락했는지 알 수 있다.
잉여 현금흐름율(Free Cash Flow)
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반기 |
영업활동현금흐름 (OCF) | 36,868,267,084 | 39,386,796,132 | 34,425,872,867 | 22,957,677,822 |
설비투자 (CAPEX) | 10,863,595,683 | 6,468,776,074 | 7,649,969,056 | 1,766,388,960 |
잉여현금흐름 (FCF) | 26,004,671,401 | 32,918,020,058 | 26,775,903,811 | 21,191,288,862 |
잉여현금흐름율 (%) | 70.5 | 83.6 | 77.8 | 92.3 |
워렌버핏같은 투자 대가들은 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을 꼭 확인한다. 잉여현금흐름비율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환원될 돈이 많아지고 주가가 우상향하게 된다.
더본코리아의 잉여현금흐름은 높은 수준이다. 최근 2024년 상반기에는 92%의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더본코리아 장점 및 단점은 무엇인가?
아래 4개의 판단기준의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1. 무형자산의 유무 (브랜드 가치, 특허 기술, 디자인, 소프트웨어)
무형자산이란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회사에 가치를 제공하는 자산을 말한다.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의 특징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더본코리아는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브랜드(‘빽다방’, ‘홍콩반점’, ‘한신포차’ 등)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구축하고 있다. 백종원 대표의 미디어 활동이 브랜드의 인지도와 가치를 증대시키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경쟁사 대비 최소한의 마케팅 비용으로 강력한 브랜드 효과를 창출한다.
2. 전환비용 유무
전환 비용은 소비자가 한 제품에서 다른 제품으로 바꿀 때 발생하는 비용이나 불편함을 말한다.
외식 프랜차이즈업의 특성상 전환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요소가 되며, 전환 비용 자체는 낮은 편이다. 우리는 더 맛있고, 더 가격이 저렴한 레스토랑을 발견하면 쉽게 옮긴다.
3.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 효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그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외식업은 네트워크 효과는 없다. 내가 가려는 식당에 손님이 많으면, 나는 못 먹는다.
4. 원가우위
경쟁사보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회사
더본코리아는 가맹점을 통해 대량의 원재료를 구매하고 이를 공급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어느 정도 실현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 곡물가격, 해상운임 등 원자재 비용에 대한 협상력이 높지 않아 원가 관리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일부 이점이 있지만, 원재료 수급에서의 한계가 존재한다.
요식 산업 성장 전망
더본코리아가 속한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의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 외식산업은 2018년 약 138조 원에서 2022년 약 177조 원으로, 연평균 약 6.4% 성장했다.
더본코리아 경쟁사 비교 (Valuation)
더본코리아의 주요 경쟁사로는 저가 커피 브랜드를 운영하는 앤하우스(메가MGC커피)와 컴포즈커피가 있다. 이들은 특히 더본코리아의 대표 브랜드인 빽다방과 직접적인 경쟁자이다. 빽다방은 더본코리아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 저가 커피 시장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보이는 주요 브랜드이다.
더본코리아의 간편식 유통 사업에서는 CJ제일제당과 오뚜기 같은 대형 식품 기업들이 경쟁사다. 이들 기업은 간편식 시장의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며 더본코리아와 경쟁하고 있다.
더본코리아 주가 전망에 미치는 요소는?
1. 한국은행과 IMF의 경제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와 한국 경제가 점진적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정학적 갈등, 인플레이션 압박, 고금리 상황 등은 위험 요소로 남아 있어 외식 소비와 관련된 경기 변동성에 주의가 필요하다.
2. 저가 커피 시장과 간편식(HMR)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은 더본코리아의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
1. 항상 주식 망하는 개인들의 공통점 (링크)
2. 남들이 알려주지 않은 주식 매도 원칙 5가지 (링크)
3. 상위 25% 끌어올리는 주식 분석 4가지 방법 (링크)
4. 아무도 모르는 우상향하는 주식 주도주 찾는 방법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