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시장과 10년물 국채 금리 상관관계 분석입니다. 미국 국채 금리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10년물 국채 금리가 5%를 넘을 때 다우존스 및 나스닥 지수가 크게 조정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주식 유튜브 채널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왜 국채 금리가 미국 주식시장에 악영향을 미칠까?
1. 국채 금리가 높아지면 안전한 국채의 매력이 커지며 주식 매도가 발생한다. 특히 나스닥(성장주)처럼 미래 이익을 기대하는 주식이 큰 타격을 받는다.
2. 기업들은 부채로 사업을 확장하는데, 금리가 오르면 대출 비용이 증가한다. 그래서 결국 기업 실적 악화가 된다. 소비자 대출 금리(주택담보대출)도 상승하여 소비 심리 위축을 발생시킨다.
3. 금리인상은 중앙은행이 경제를 조절하는 방법 중 하나다.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시장에 풀린 돈이 줄어들면서 주식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4. 투자자의 심리적인 작용도 한다. 2000년대에는 10년물 국채 금리가 5~6%가 한계점이였으나, 최근에는 3~4%대만 되어도 주식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역대 10년물 국채 금리와 나스닥 하락률 통계

시장폭락 이벤트 | 10년물 국채금리피크 | 2년물 국채금리피크 | 다우존스 하락률 | 나스닥 하락률 |
2000년 IT 버블 | 6.5~6.8% | 6.5% (역전 현상) | -37% | -78% |
2007년 금융위기 | 5.3% | 5.0% | -54% | -55% |
2018년 조정 | 3.24% | 2.9% | -18% | -23% |
2020년 코로나쇼크 | 1.6% → 0.5% (급락) | 1.6% → 0.15% | -37% | -30% |
2022년 인플레이션쇼크 | 4.25% | 4.8% | -22% | -33% |
미국 주식 시장 주요 하락 사례
1. IT 버블 붕괴 (2000 ~ 2002년)
금리가 6% 이상 치솟자, 주식 대비 국채의 매력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기 시작. 연준이 기준금리를 6%까지 인상하면서 장·단기 금리 역전(경기침체 신호) 발생. 고금리가 기술주(성장주)의 미래 수익 가치를 깎아버리면서 나스닥 대폭락
2. 글로벌 금융위기 (2007~2009년)
금리가 5%를 넘으면서 대출 금리도 상승한다. 따라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자들의 연체 증가. 금융시장 붕괴 후, 투자자들이 안전자산(국채)으로 대피하며 금리는 2%까지 하락.
3. 2018년 금리 인상 충격
10년물 국채 금리가 3%를 넘자 성장주(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 확산.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2.9%까지 상승)이 유동성 축소를 초래.
4. 코로나19 폭락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자 국채 금리는 급락. 이전 사례들과 달리, 금리 상승이 아닌 경제 충격이 시장 폭락의 원인.
5. 2022년 인플레이션 충격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2년물 국채 금리 4.8% 도달)으로 채권 수익률 상승. 기술주 중심으로 주가 하락(고금리가 미래 수익의 현재 가치를 낮추는 효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몇 %일 때 주식이 반등했는가?
시장폭락 이벤트 | 10년물 국채금리 (최고점) | 주식시장 바닥시점 | 반등시작시점 국채금리 |
2000년 IT 버블 | 6.8% (2000년 초) | 2002년 10월 | 3.5% 이하 |
2007년 금융위기 | 5.3% (2007년 중반) | 2009년 3월 | 2.5% 이하 |
2018년 조정 | 3.24% (2018년 10월) | 2018년 12월 | 2.7% 이하 |
2020년 코로나쇼크 | 1.6% (2020년 초) → 0.5% (급락) | 2020년 3월 | 1.0% 이하 |
2022년 인플레이션쇼크 | 4.25% (2022년 10월) | 2022년 10월 | 3.5% 이하 |
주식시장 바닥이 형성될 때: 10년물 국채 금리가 최고점에서 최소 1.5~3% 하락한 시점
주식 반등이 시작될 때: 10년물 국채 금리가 3.5% 이하로 내려오면 시장 회복세
강한 상승장이 나타날 때: 10년물 국채 금리가 2~3% 수준으로 안착할 때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투자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