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브 홀딩스(vertiv) 주가 전망 분석입니다. 비즈니스 모델, 최근 실적, 장단점, 산업 전망, 경쟁사를 분석하여 목표 주가를 제시합니다. 현재 보유종목 수익은 홈페이지에 있으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버티브 홀딩스 기업 모델 분석 (Business Model)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
회사는 주로 데이터 센터(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코로케이션), 통신 네트워크 및 상업/산업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과 글로벌 서비스를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주요 브랜드는 Liebert, NetSure, Geist, Energy Labs, E&I, Avocent 등이다.
*하이퍼스케일이란? 대규모로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예: 아마존 웹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 클라우드)가 주로 운영한다.
*코로케이션이란? 기업이 자신의 서버와 IT 장비를 타사의 데이터 센터에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
1. 핵심 디지털 인프라 기술
- AC/DC 전력 관리: 전력 분배와 제어를 위한 고성능 시스템.
- 열 관리 제품: 데이터 센터 및 기타 중요 환경의 온도와 공기 흐름을 제어.
- 저/중전압 스위치기어 및 버스웨이: 전력 전달 시스템.
- 모듈식 솔루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사전 구성된 모듈식 전력 및 냉각 솔루션.
2. 통합 랙 솔루션
- 랙 및 랙 전력 분배: IT 장비용으로 설계된 랙과 전력 분배 시스템.
- 단상 UPS: 전원 보호를 위한 소형 전력 관리 장치.
- 열 관리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IT 장비의 모니터링과 관리.
회사의 제품이 왜 필요한가?
1.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데이터를 처리, 저장, 분석하기 위한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스트리밍, 소셜 미디어, IoT(사물인터넷) 등이 데이터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킨다. 회사는 전력 관리, 열 관리, 랙 시스템, 모듈형 솔루션을 통해 데이터 센터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한다.
2. 데이터 센터 및 네트워크는 각 기업의 요구에 따라 설계와 운영 방식이 다르다. 버티브 홀딩스는 모듈식 솔루션과 통합 서비스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설계를 지원한다. 프로젝트 초기부터 유지보수까지 전체 수명주기 관리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 주기는 얼마나 되는가?
1. AC/DC 전력 관리, 열 관리 시스템, 스위치기어, 버스웨이 – 일반적으로 3~10년 걸린다. 이러한 제품은 대규모 설치 프로젝트와 관련되어 있어 초기 구매 후 정기적인 교체 또는 업그레이드 주기는 수년 단위로 이뤄진다. 이 핵심 인프라 제품은 신규 데이터 센터 건설 시 대량 구매가 발생한다. 제품 가격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 이상이다.
2. 랙, 랙 전원 분배 장치(PDU), 단상 UPS, 랙 열 관리 시스템 – 보통 1~5년 주기가 있다. 고객의 IT 인프라 성장 속도에 따라 교체 또는 확장 주기가 짧을 수 있다. 소규모 데이터 센터 및 IT 설비의 경우 구매 주기가 더 짧다.
3. 서비스 및 예비 부품은 일반적으로 연간 계약을 한다.
회사의 고객사는 누구인가?
클라우드 및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 –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코로케이션 데이터 센터 – Digital Realty, Equinix, QTS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센터 – 골드만삭스, 제이피 모건, 월마트
그 외 통신 서비스 업체, 공공 및 정부가 있다.
버티브 홀딩스 비즈니스 전략은 무엇인가?

1. 버티브홀딩스는 200개 이상의 글로벌 서비스 센터와 3,500명 이상의 서비스 엔지니어를 보유하여 전 세계 어디에서든 일관된 서비스 제공한다.
2. 연간 약 3억 달러(2023년 기준)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AI, IoT, 빅데이터와 같은 기술 트렌드에 맞춘 신제품 개발에 집중한다.
3. 전력 관리, 열 관리, 통합 랙 시스템, 모듈형 솔루션, 관리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고객의 모든 디지털 인프라 요구를 충족.
버티브 홀딩스 주가에 미치는 리스크 요인 무엇인가?

1. 버티브 홀딩스는 전력 관리 및 열 관리 제품에 필요한 부품과 원자재를 전 세계에서 조달한다. 공급망 제약, 원자재 가격 상승(예: 철강, 구리, 전자 부품), 물류 비용 증가 등이 제품 원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원자재 및 물류 비용 상승이 고객에게 전가되지 못할 경우, 이익률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2. 글로벌 경제 침체, 금리 상승,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주요 고객들이 IT 및 디지털 인프라 투자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데이터 센터 시장의 성장 둔화나 투자 지연은 회사의 주요 매출원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3. Schneider Electric, Eaton, 화웨이 등과 같은 대규모 글로벌 경쟁자 및 지역별 특화된 소규모 경쟁자들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경쟁사들이 더 낮은 가격이나 기술적으로 더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경우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수 있다.
버티브 홀딩스 실적 (Income Statement)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매출액 | 4,431 | 4,371 | 4,998 | 5,692 | 6,863 |
매출원가 | 2,978 | 2,897 | 3,475 | 4,076 | 4,462 |
영업이익 | -104 | -255 | 166 | 167 | 534 |
영업이익률 (%) | -2.35% | -5.83% | 3.32% | 2.93% | 7.78% |
당기순이익 | -141 | -327 | 120 | 77 | 460 |
당기순이익률 (%) | -3.18% | -7.48% | 2.40% | 1.35% | 6.70% |
버티브 홀딩스 주가 전망을 하기위해 손익계산서를 분석하자.
회사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은 2021년부터 흑자로 전환하였다.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3~7% 수준, 당기순이익률은 2~6% 수준이다.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률 추이 비교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매출액 증가율 (%) | -1.35% | 14.33% | 13.90% | 20.56% |
영업이익 증가율 (%) | 0.60% | 219.76% |
성장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회사의 매출액 증가율을 봐야한다. 회사는 2023년에 20%의 증가율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219% 상승을 기록하였다.
연도별 매출 원가율과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매출원가율 (%) | 67.22% | 66.30% | 69.54% | 71.62% | 65.00% |
판매비와 관리비율 (%) | 35.16% | 39.52% | 30.47% | 28.39% | 35.00% |
버티브 홀딩스의 매출 원가율은 66~71% 수준으로 높고, 판관비율은 28~39%로 수준이다. 원재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높은 이익률을 기대하기 어렵다.
잉여 현금흐름율(Free Cash Flow)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영업활동현금흐름 | 58.0 | 209.0 | 211.0 | -153.0 | 901.0 |
설비투자 | -70.0 | -53.0 | -85.0 | -111.0 | -135.0 |
잉여현금흐름 | -12 | 156 | 126 | -264 | 766 |
워렌버핏같은 투자 대가들은 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을 꼭 확인한다. 잉여현금흐름비율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환원될 돈이 많아지고 주가가 우상향하게 된다.
버티브 홀딩스 최근 배당률 및 지급일

회사는 분기 배당을 실시하고 있다. 연간 배당수익률은 대략 0.12% 수준이다.
버티브 홀딩스 장점 및 단점은 무엇인가?
아래 4개의 판단기준의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1. 무형자산의 유무 (브랜드 가치, 특허 기술, 디자인, 소프트웨어)
무형자산이란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회사에 가치를 제공하는 자산을 말한다.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의 특징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버티브 홀딩스는 잘 알려진 브랜드와 약 2,800개의 등록된 특허 및 1,700개의 등록된 상표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업계에서 차별화된 기술적 전문성을 기반으로 강력한 브랜드 인식을 제공한다. 고객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50년 이상의 서비스 이력을 쌓아 왔으며, 이는 고객 충성도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신뢰도를 유지한다.
2. 전환비용 유무
전환 비용은 소비자가 한 제품에서 다른 제품으로 바꿀 때 발생하는 비용이나 불편함을 말한다.
버티브 홀딩스의 고객은 데이터센터, 통신 네트워크, 상업 및 산업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중요한 인프라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과 서비스는 고객의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에 핵심적이다. 유지보수 서비스 및 예측 분석을 포함한 글로벌 서비스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이는 고객이 버티브 홀딩스를 떠나기 어렵게 만든다. 데이터센터와 같은 고도로 전문화된 기술이 필요한 산업에서는 공급업체 변경이 상당한 위험과 비용이 발생한다.
3.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 효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그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고객의 규모 확장은 버티브 홀딩스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직접적인 네트워크 효과를 불러오지는 않는다.
4. 원가우위
경쟁사보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회사
버티브 홀딩스는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며, 40개 이상의 국가에 제조 및 운영 시설을 보유하여 글로벌 스케일의 효율성을 활용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 산업 성장 전망
2023년 기준, 글로벌 데이터 센터 인프라 시장은 약 600억~700억 달러 규모로 추정한다. 2030년까지 시장 규모가 약 1,200억~1,5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연평균 성장률은 10~12%로 예상한다.
회사의 제품이 속한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고성장 산업이다. 데이터 센터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와 상업/산업 환경 역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버티브 홀딩스 경쟁사 비교
1. Schneider Electric (프랑스)
데이터 센터 전력 관리 및 열 관리 제품의 선두주자. EcoStruxure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센터, 산업 및 에너지 솔루션 제공.
2. Eaton Corporation (미국)
전력 관리 및 배전 시스템에서 강력한 입지. UPS(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와 같은 전력 관리 제품이 강점.
3. Legrand (프랑스)
전력 관리, 랙 솔루션 및 통합된 데이터 센터 인프라 제품을 제공한다. 스마트 빌딩 및 상업용 전력 시스템에 집중한다.
4. Huawei Technologies (중국)
데이터 센터 인프라 및 통신 네트워크에 강력한 입지를 보유. 경쟁력 있는 가격과 첨단 기술로 시장 점유율을 확장.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투자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