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 삼성전자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점에 관한 글입니다. 우선주와 보통주의 정의, 배당금 차이, 의결권 유무, 투자시 고려할 점에 대해서 다룹니다.

삼성전자 우선주와 보통주 정의

삼성전자 보통주는 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보장하며, 회사의 성장 가능성과 주가 상승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식이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보통주보다 먼저 배당금을 받거나, 청산 시 잔여재산을 분배받는 권리가 주어진 주식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보통주와 우선주 모두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고, 우선주의 배당금이 약간 더 많은 편이다. 단, 의결권을 중시한다면 보통주를 선호할 수 있다.

우선주의 배당금이 보통주보다 높은 이유는?

삼성전자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점

우선주의 배당금이 보통주보다 높은 이유는 의결권이 없다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투자자에게 보다 매력적인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기업 입장에서 우선주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려면 보통주와의 차별화 요소가 필요하고, 배당금을 조금 더 많이 지급해서 그 가치를 높이는 방식을 택한다.

삼성전자 우선주를 보유하면 의결권이 없는 게 큰 단점인가요?

개인 투자자 관점에서 의결권이 없는 우선주를 보유하는 것이 큰 단점인지 여부는 투자 목적과 성향에 따라 달라진다. 보통 개인 투자자들은 대규모 지분을 보유하지 않아서 의결권 행사로 기업 경영에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의결권보다 배당이나 주가 수익률을 더 중시한다면, 우선주가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삼성전자 우선주, 보통주 실제 배당 수익률 비교

삼성전자 보통주

배당락일배당 지급일주당배당금연간 배당수익률
24년 9월 27일24년 11월 20일361원1.93%
24년 6월 27일24년 8월 20일361원1.89%
24년 3월 28일24년 5월 20일361원1.94%
23년 12월 27일24년 4월 19일361원2.06%
23년 9월 26일23년 11월 20일361원2.21%
23년 6월 29일23년 8월 16일361원2.38%
23년 3월 30일23년 5월 17일361원2.49%
22년 12월 28일23년 4월 14일361원2.43%
22년 9월 29일22년 11월 15일361원2.25%
22년 6월 29일22년 8월 16일361원2.04%
22년 3월 30일22년 5월 17일361원1.88%
21년 12월 29일22년 4월 15일361원1.81%
21년 9월 29일21년 11월 17일361원3.81%
21년 6월 29일21년 8월 18일361원3.95%
21년 3월 30일21년 5월 18일361원4.17%

삼성전자 우선주

배당락일배당 지급일주당배당금연간 배당수익률
24년 9월 27일24년 11월 20일361원2.37%
24년 6월 27일24년 8월 20일361원2.36%
24년 3월 28일24년 5월 20일361원2.39%
23년 12월 27일24년 4월 19일362원2.53%
23년 9월 26일23년 11월 20일361원2.62%
23년 6월 29일23년 8월 16일361원2.73%
23년 3월 30일23년 5월 17일361원2.79%
22년 12월 28일23년 4월 14일362원2.67%
22년 9월 29일22년 11월 15일361원2.48%
22년 6월 29일22년 8월 16일361원2.23%
22년 3월 30일22년 5월 17일361원2.05%
21년 12월 29일22년 4월 15일362원1.97%
21년 9월 29일21년 11월 17일361원4.12%
21년 6월 29일21년 8월 18일361원4.32%
21년 3월 30일21년 5월 18일361원4.59%

삼성전자 보통주와 우선주를 비교해보면 실제로 받는 주당 배당금은 같다. 하지만 우선주가 1주 가격이 보통주보다 더 저렴하기 때문에 배당 수익률은 보통주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삼성전자 기업 분석 (링크)

삼성전자가 현재 위기인 이유 (링크)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주식 투자로 돈 번 투자자는?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

1. 항상 주식 망하는 개인들의 공통점 (링크)

2. 남들이 알려주지 않은 주식 매도 원칙 5가지 (링크)

3. 상위 25% 끌어올리는 주식 분석 4가지 방법 (링크)

4. 아무도 모르는 우상향하는 주식 주도주 찾는 방법 (링크)

5. 마음 편한 중장기 주식 종목 선정 기준 (링크)

6. 반드시 알아야 할 주식 차트 분석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