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선물 현물 움직임과 상관관계 글입니다. 현물과 선물의 정의, 거래 목적, 선물 만기 개념, 선물의 움직임에 따라 현물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분석하였습니다.
현물과 선물의 정의 및 주요차이
항목 | 현물 (Spot) | 선물 (Futures) |
거래시점 | 현재 시점에서 즉시 체결 | 미래 시점에 체결 예정 (계약 체결은 지금) |
결제방식 | 실물 인도 (T+2) | 보통 차액결제 |
만기일 | 없음 (무기한 보유 가능) | 정해진 만기일 존재 |
레버리지 | 없음 (현금 100%) | 가능 (증거금만으로 거래) |
위험관리 | 보유 리스크 그대로 감수 | 헤지 수단으로 활용 가능 |
거래목적 | 투자/보유 중심 | 헤지, 투기, 차익 거래 중심 |
주식 현물 정의 – 즉시 거래되는 자산. 거래 체결 후 보통 2일 이내(T+2)에 실제 자산이 실물로 인도되거나 계좌에 반영됨.일반적인 주식 매매가 이에 해당됨.
주식 선물 정의 – 미래의 특정 시점에 자산을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팔기로 약속하는 계약. 실물 인도가 아니라 차액결제(Cash Settlement)가 일반적. 레버리지 효과가 크고, 헤지(Hedge)나 투기(Speculation) 수단으로 자주 사용됨. 예를 들어 “6월 KOSPI200 선물”을 오늘 300pt에 매수하면, 6월 만기일에 320pt로 상승 시 20pt의 차익을 얻게 된다.
외국인 기관 선물 거래 목적

1. 헷지(위험 회피)
선물의 가장 본질적인 역할이다. 현물 보유 투자자가 향후 주가 하락에 대비해 선물 매도 포지션을 취함. 포지션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손실을 상쇄할 수 있다.
2. 투기
선물은 레버리지를 활용해 상대적으로 적은 자금으로도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가격 상승이 예상되면 선물 매수(long), 가격 하락이 예상되면 선물 매도(short), 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아도 거래 가능하다.
3. 차익거래(Arbitrage)
현물과 선물 가격 사이의 괴리를 이용한 무위험 수익 전략.
- 현물은 싸고 선물은 비쌀 때: 현물 매수 + 선물 매도
- 현물은 비싸고 선물은 쌀 때: 현물 매도 + 선물 매수
4. 시장 예측과 포지션 플레이
시장 전체의 방향성을 예측하고 선물로 투자
주식 선물 만기 개념
주식 선물에서 “만기”란,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을 말한다. 이 날짜가 되면 포지션 정리 또는 결제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가격이 최종 확정된다. 이 개념은 선물 거래의 핵심 중 하나로, 현물 투자와 선물 투자를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한국 시장 기준 코스프200 선물의 만기
- 3월, 6월, 9월, 12월 두 번째 목요일
만기가 왜 중요한가?
1. 만기 가까워질수록 선물 가격은 현물 가격과 수렴하려는 성질이 있음
2. 만기일이 다가오면 트레이더들은 포지션을 정리하거나 롤오버해야 하므로 시장에 비정상적인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음
3. 기존 포지션을 다음 달 또는 다음 분기로 넘기는 것
선물 가격 움직임, 현물 움직임과의 패턴
기간 (2020~2024) | 코스피200 선물 vs 현물 Pearson 상관계수 | S&P 500 선물 vs 현물 Pearson 상관계수 |
전체 기간 (일간 수익률) | 약 0.96 (강한 양의 상관) | 약 0.99 (거의 완벽한 상관) |
2020년 | 0.97 | 0.99 |
2021년 | 0.94 | 0.98 |
2022년 | 0.95 | 0.99 |
2023년 | 0.93 | 0.98 |
2024년 | 0.96 | 0.99 |
최근 5년간 코스피와 S&P 500 지수의 선물과 현물 시장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왔으며, 통계적으로 선물 가격의 방향과 현물 지수의 움직임이 대체로 일치해왔다.
코스피200 선물은 오랜 기간 현물지수의 “가격 발견”을 주도해왔고, S&P 500 선물 역시 글로벌 시장 정보가 집약되는 지표 역할을 수행하여 현물 S&P 500 지수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경향이 있다.
선물 가격이 오르면 프로그램 매수와 투자심리 개선을 통해 현물 지수도 따라 오르고, 선물이 떨어지면 차익거래 매도와 투자심리 위축으로 현물 지수가 하락하는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선물 가격은 실시간으로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장중에 선물이 갑자기 급락하면 이를 본 현물 투자자들이 공포심리에 주식을 팔아 현물 지수가 동반 하락하고, 반대로 선물이 강하게 오르면 현물 투자자들의 매수심리를 자극하여 지수가 상승하는 식이다.
해외증시 급락 시 선물시장부터 반응하여 하한가 근처까지 내려가면, 현물 개장 전에 이미 투자심리가 냉각되어 현물시장에도 매물이 쏟아진다.
미국 언론사 추천 종목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투자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