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기업 분석과 주가 상승 필수 조건에 관한 글 입니다. kakao는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로 잘 알려진 대한민국의 주요 IT 기업입니다. kakaotalk, 다음, kakaotalkT 등을 통해 디지털 통신 및 플랫폼 분야에서 국내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주식 개인투자자입니다. 현재 보유종목 수익은 홈페이지에 있으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 기업 분석 1 – 사업 모델 (Business Model)
카카오 기업 분석을 위해 사업 모델을 분석하자.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잘 알고있는 회사이며,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가 카카오앱을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국내 대표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과 포털 사이트 다음(Daum)을 운영하며, 모바일 및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사업은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으로 나누어진다.
1. 플랫폼 부문
톡비즈 – 카카오톡을 통한 광고 및 커머스 서비스 제공으로 파트너의 성장 지원
포털비즈 – 다음 포털 사용자 및 트래픽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광고
기타 플랫폼 – 페이, 모빌리티, 헬스케어, 브레인 등 미래 성장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2. 콘텐츠 부문
게임콘텐츠 – KAKAO게임즈가 주도하는 모바일 게임 다변화 및 해외 시장 진출
음악콘텐츠 – 멜론 음악 플랫폼 운영 및 케이팝 아티스트 육성
스토리 콘텐츠 – 픽코마와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운영되는 스토리IP 개발
미디어콘텐츠 – 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 IP를 활용한 매니지먼트 및 영상 콘텐츠 제작
카카오 기업 분석 2 – 실적 (Income Statement)
연도 | 2019/12 | 2020/12 | 2021/12 | 2022/12 | 2023/12 |
---|---|---|---|---|---|
매출액 | 30,701 | 40,714 | 59,105 | 67,987 | 75,570 |
영업이익 | 2,022 | 4,505 | 5,879 | 5,694 | 4,609 |
당기순이익 | -3,459 | 1,690 | 16,405 | 10,670 | -18,167 |
영업이익률 (%) | 6.59% | 11.06% | 9.95% | 8.38% | 6.10% |
기업 분석을 하기위해 실적을 분석하자.
매해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주가는 하락하고 있지만 매출액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카카오의 영업이익은 2021까지 증가하다가 2022년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영업이익률도 2020년에 11%를 기록하고 2023년까지 6%로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플랫폼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플랫폼 회사와 비교해보면 이익률이 매우 낮은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6~11%)
2023년에는 당기순이익이 마이너스 1조8천억원의 손실을 기록하였다. 이유는 카카오의 종속회사 기업가치 손상액이 1조3884억원, 무형 가치 손상차손(PPA) 2703억원에 달한다. 종속회사별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타파스, 멜론, 영상제작 스튜디오 영업권 손상차손액이 8892억원, 에스엠엔터 손상차손액이 2547억원에 해당한다. (링크)
하지만 손상차손은 현금이 실제로 지출된 것이 아니다.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의 시장 가치가 회계상 기록된 가치보다 낮을 경우, 그 차이를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것이다. 즉 단지 회계상의 가치 조정에 해당한다.
매출액& 매출 원가 증가율 비교
연도 | 매출 | 매출액 증가율 | 매출 원가 | 매출원가 증가율 |
---|---|---|---|---|
2021 | 5,910,512,880,994 | – | 5,322,628,541,792 | – |
2022 | 6,798,741,511,168 | 15.01% | 6,229,351,066,000 | 17.04% |
2023 | 7,557,001,757,272 | 11.15% | 7,096,143,911,599 | 13.93% |
매출액과 매출원가 증가율을 분석해봤다.
매출액은 2022년에 15% 증가하였고, 매출원가는 17% 증가하였다. 2023년 매출액은 11% 증가하였고, 매출원가는 14% 증가하였다.
매출액 증가보다 매출원가 증가율이 더 높았기 때문에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수 밖에 없었다. 카카오 기업이 비용관리를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영업비용에서 가장 많은 지출은 ‘매출연동비’ 이다. 즉 매출이 오르면 영업비용이 증가하고, 매출이 하락하면 영업비용이 하락한다.
카카오 기업 분석 3 – 현금흐름표
항목 | 2021 | 2022 | 2023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306,571,526,446 | 678,376,491,408 | 1,341,098,333,644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1,487,783,316,407 | 935,229,755,687 | 1,600,532,572,943 |
투자활동현금흐름 | -3,341,008,649,973 | -1,574,104,586,648 | -1,779,932,042,360 |
재무활동현금흐름 | 4,441,165,653,681 | 411,821,219,788 | 1,019,586,517,417 |
최근 3년동안 영업활동으로 현금이 들어오고 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이 1조원이 넘는 마이너스 였지만, 실제로는 영업활동으로 돈이 들어오고 있었다. 이런 부분을 주의깊게 분석해야 한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kakao 종속회사들의 영업권과 무형자산 가치가 하락한 것을 회계상에 반영한 것이다. 실제 현금 지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항목 | 2021 | 2022 | 2023 |
---|---|---|---|
투자활동현금흐름 | -256.09% | -231.89% | -132.77% |
재무활동현금흐름 | 340.29% | 60.71% | 76.01% |
kakao의 현금흐름에서 투자활동현금흐름에 지출한 돈은 약 1조7천억원으로 벌어들인 돈보다 더 많은 돈을 지출하였다.
투자활동현금흐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은 ‘유형자산의 취득’ ‘단기금융상품의 증감, 무형자산의 취득,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 에 많은 자금을 지출하였다.
카카오 기업 분석 4 –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항목 | 제27기 (%) | 제28기 (%) | 제29기 (%) |
---|---|---|---|
부채총계 | 41.47% | 41.18% | 44.93% |
자본총계 | 58.53% | 58.82% | 55.07% |
자산총계 | 100% | 100% | 100% |
기업 분석을 위해 재무상태표 역시 분석해야 한다.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자본과 부채 비중은 55:45의 비율로 자본이 조금 더 많다. 카카오의 부채비중은 더 많아지고 있으며, 자본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유동자산에서는 현금성 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비중이 가장 높았다. 비유동자산에서는 무형자산과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사용권 자산 비중이 가장 높았다.
유동부채에서는 매입채무및기타채무, 단기차입금, 기타유동금융부채가 많았다. 비유동부채에서는 장기리스부채 비중이 높았다.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고 귀찮을지 모르겠지만 회사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꼭 확인해야 한다. 손익계산서와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카카오 잉여현금흐름율(Free Cash Flow)
워렌버핏같은 투자 대가들은 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을 꼭 확인한다. 잉여현금흐름비율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환원될 돈이 많아지고 주가가 우상향하게 된다. kakao의 FCF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 기업 분석 5 – 사업 모델 장점 및 단점
기업의 정성적 분석을 하면 주가 전망을 할 수 있다. 아래 10개의 판단기준의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1. 무형자산의 유무 (브랜드 가치, 특허 기술, 디자인, 소프트웨어)
무형자산이란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회사에 가치를 제공하는 자산을 말한다.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의 특징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kakaotalk 1위 플랫폼을 가진 강력한 브랜드이다. 대한민국 사람들이 카카오톡을 사용해서 많은 데이터 정보(무형자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형자산은 새로운 사업에 확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전환비용 유무
전환 비용은 소비자가 한 제품에서 다른 제품으로 바꿀 때 발생하는 비용이나 불편함을 말한다.
kakao 사용자들은 메신저, 게임, 페이지등 다양한 연동된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다. 이러한 플랫폼 간 연동은 사용자가 카카오 플랫폼을 떠나 다른 서비스로 옮기는 것에 대한 전환 비용을 증가시키며, 사용자의 이탈률을 낮추는데 기여한다.
예전에 데이터센터 화재로 잠시 kakaotalk이 안된적이 있다. 사용자가 그러한 불편함을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고 kakaotalk을 사용한다.
3.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 효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그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한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메신저 앱 중 하나로, 사용자가 많을수록 서비스의 가치가 증가한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에서 친구, 가족, 회사 동료 간의 소통을 하기위해서는 카카오톡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지금 네이버 ‘라인’을 다운받아서 접속해보자. 당신의 친한 친구, 가족이 그 플랫폼을 사용하는지 안하는지 확인해보면 된다.
4. 원가우위
경쟁사보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회사
카카오는 대규모 사용자 기반을 활용하여 광고, 커머스, 콘텐츠 등에서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카카오는 높은 이익률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5. 카카오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인가?
회사의 산업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가 카카오 기업 분석에 가장 중요하다. 100번을 중요하다고 말해도 부족하다.
카카오의 사업 모델은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미 대한민국 사람 대부분이 카카오톡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시장 침투율이 매우 낮다.
카카오가 운영하는 다음 포털사이트 역시 네이버와 구글에 비해 시장 점유율이 매우 낮다. 자회사 카카오페이는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카카오게임은 게임 플랫폼 역할을 하지만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 비해서 경쟁력이 매우 뒤떨어진다.
카카오T, 픽코마, 카카오웹툰, 카카오페이지 중 여전히 높은 성장성있는 사업이 있을까? 카카오 기업이 이러한 한계점을 알고, 이것저것 다 건드리는 문어발 사업 확장을 하여 정부의 뭇매를 맞았다.
카카오는 분명 내수의 한계를 느꼈다. 그래서 에스엠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여 해외시장 개척을 하려고 한다. 이 부분이 카카오 주가의 미래를 결정 짓지 않을까?
6. 카카오 지역 확장성, 상품 확장성이 가능한가?
내수용 or 글로벌용 | 내수용 |
회사의 사업 모델 갯수 | 10개 이상 |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내수에만 의존하는지 전 세계에 수출하는지에 따라 적정 PER이 달라진다. 지역 확장성이 높을수록 PER 프리미엄을 받는다. 그래서 카카오 기업 분석시 확장성을 꼭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회사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장사를 한다.
사업 부문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비즈니스 모델은 국내용이다.
7. 경쟁사와 가치 비교 (Valuation)
경쟁회사의 유무는 카카오 기업 분석에 매우 중요하다.
2023년 | 카카오 | 네이버 |
매출 | 75,570억원 | 96,706억원 |
PER | -23.85 | 15.39 |
ROE | -10.26 | 4.41 |
배당률 | 0.11 | 0.54 |
8. 카카오 주가 상승 요인
1) 카카오는 이미 금융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모빌리티 등 다양한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했다. 이제는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 확장에 힘을 써야한다. 해외 매출 비중이 올라간다면 카카오의 주가는 재평가 될 것이다.
2) 플랫폼 기업으로서 낮은 이익률을 개선해야한다. 구글, 메타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편이다.
3) 현재 대세는 인공지능(AI)이다. 카카오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에서 좋은 성과를 보여준다면 주가는 올라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