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로 인해 수혜, 피해 받는 미국 기업

본 분석은 공개된 미국 수입 통계(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 미 상무부·센서스국 데이터)와 언론(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에서 보도한 2023년 품목별 수입 점유율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미국 수입 주요 상품 (멕시코, 캐나다, 중국)

트럼프 관세로 인해 수혜, 피해 받는 미국 기업

표에 따르면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중국에서 들여오는 주요 수입 품목은 자동차 부품, 석유·정제유, 컴퓨터·전화기, 배터리, 음식료품(맥주, 빵 등), 가전(에어컨, 냉장고), 장난감·파티용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품목에서 관세가 붙으면, 미국 내에서 비슷한 제품을 생산하거나 대체재를 만들 수 있는 기업들은 이득을 볼 수 있고(수입 경쟁력 약화로 인한 반사이익), 반대로 해당 수입 품목에 의존해 제품을 완성하거나 판매하는 기업들은 타격을 입게 된다.

미국 관세 정책으로 수혜와 피해를 받는 기업

미국 관세 정책으로 수혜와 피해를 받는 기업

1. 자동차 부품 (멕시코 캐나다 비중이 높음)

이득을 볼 수 있는 기업

미국 내에서 자동차 부품을 직접 생산하거나 현지 공장을 두고 있는 중소 부품 업체들은 경쟁우위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예: 미국에 생산 거점을 둔 중소 자동차 부품 제조사(엔진·내연기관용 부품, 브레이크·서스펜션 파트 등).

피해를 볼 수 있는 기업

포드(Ford),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완성차 업체들은 멕시코·캐나다 공장과의 부품·완성차 교역이 많아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전기차나 첨단 부품을 중국에서 들여오는 테슬라(Tesla) 같은 기업들도 부품 조달 비용이 올라갈 우려가 있다.

2. 원유 정제유 (캐나다 멕시코 비중 높음)

이득을 볼 수 있는 기업

미국 내 셰일오일·가스 생산 업체(엑슨모빌(ExxonMobil), 셰브런(Chevron) 등)는 일정 부분 가격 경쟁력이 상승할 수 있다.

피해를 볼 수 있는 기업

정유공장을 운영하는 기업들은(발레로(Valero), 피필립스66(Phillips 66) 등) 저렴한 원유·정제유 수입이 줄어들면 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다.

3. 전자제품·배터리·컴퓨터(중국 비중 높음)

이득을 볼 수 있는 기업

미국 내에서 반도체·전자부품을 어느 정도 자체 조달하는 소규모 제조사들은 중국산 제품 가격이 오르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을 운영 중인 LG에너지솔루션(미국 법인)이나 파나소닉(미국 법인)과 협력하는 전기차 업체들도 중국 배터리 의존도가 낮다면 이득이 될 수도 있다.

피해를 볼 수 있는 기업

애플(Apple), HP, 델(Dell) 등 중국 내 생산라인에 의존하는 대형 IT 기업들은 관세로 인해 부품 조달 비용이 높아져 제품 가격 경쟁력 하락이 우려된다.

완성 배터리나 전자부품을 중국에서 들여와 조립하는 모든 기업들은 비용 상승으로 이윤이 줄어들 수 있다.

4. 식음료·생활소비재(맥주, 빵, 장난감, 파티용품 등)

이득을 볼 수 있는 기업

멕시코산 맥주(코로나, 모델로 등) 수입에 관세가 붙으면, 미국의 지역 브루어리나 버드와이저 등을 생산하는 대형 맥주 회사(미국 내 공장 기준)가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

장난감, 파티용품을 미국 내에서 생산하거나 다른 동남아 국가로 생산 거점을 옮긴 기업들은 중국산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피해를 볼 수 있는 기업

멕시코 맥주나 제과 수입·유통을 주력으로 하는 컨스텔레이션 브랜즈(Constellation Brands) 같은 업체들은 판매가격 상승으로 매출에 타격이 예상된다.

완구 회사 중에서 중국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는 해즈브로(Hasbro), 마텔(Mattel) 등은 관세 부담이 커지고, 월마트(Walmart), 타깃(Target) 같은 대형 유통업체도 공급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5. 철강·알루미늄(캐나다 비중 높음)

이득을 볼 수 있는 기업

알코아(Alcoa) 등 미국 내 알루미늄 생산 기업은 캐나다산 알루미늄에 관세가 붙으면 자사 제품을 좀 더 경쟁력 있게 공급할 수 있다.

철강도 비슷하게, 미국 내 제철소가 관세 덕분에 상대적으로 가격우위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피해를 볼 수 있는 기업

자동차·항공·가전 등 알루미늄 및 철강을 많이 쓰는 제조사들은 원재료 비용 증가로 인해 이윤이 줄어들 수 있다.

보잉(Boeing)이나 GM, 포드처럼 금속 소재를 대량으로 조달하는 기업들이 대표적이다.

6. 항공기·우주산업(캐나다 비중 높음)

이득을 볼 수 있는 기업

미국 내 중소 항공기 부품사들은 캐나다·중국산 부품이 관세로 비싸지면 대체공급원이 될 가능성이 있다.

피해를 볼 수 있는 기업

항공기 동체나 엔진 파츠를 수입해 조립하는 보잉(Boeing) 같은 대기업은 비용 상승이 부담된다.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주식 투자로 돈 번 투자자는?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투자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

유튜브로 주식 공부하기 (링크)

분산투자 몇 종목이 적절한가? (링크)

필수로 알아야 하는 주식 기초용어 (링크)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

좋은 주식 고르는 방법 4단계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