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 AI 주가 전망 분석입니다. 비즈니스 모델, 최근 실적, 리튬 메탈 배터리 장단점, 2차전지 산업 전망, 경쟁사를 분석하여 목표 주가를 제시합니다. 현재 보유종목 수익은 홈페이지에 있으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ES AI 기업 모델 분석 (Business Model)
![SES AI 주가 전망, 기업 분석](https://stockboy.co.kr/wp-content/uploads/2024/12/Screenshot-2024-12-31-at-9.40.04 AM-1024x410-optimized.png)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
SES AI Corporation은 전기차(EV),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및 기타 응용 분야를 위한 고성능 리튬-메탈(Li-Metal) 충전식 배터리 기술 개발 및 생산을 전문으로 한다.
리튬-메탈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이점을 기존 리튬이온(Li-ion) 배터리의 대량 생산 가능성과 결합한 배터리 기술 개발한다. 제너럴모터스(GM), 현대자동차, 혼다 등 주요 완성차 제조사(OEM)와의 협력을 통해 배터리 기술을 EV와 UAM에 통합한다. 생산을 확장하기 위한 시설 구축 및 파트너십 형성, 2027년 상업적 제조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의 제품이 왜 필요한가?
더 높은 에너지 밀도: Li-ion 배터리의 약 265 Wh/kg에 비해 400 Wh/kg 및 1,000 Wh/L에 달해 더 긴 주행 거리 제공.
경량 및 컴팩트 디자인: 차량 무게를 줄이고 효율성 향상.
빠른 충전 능력: 15분 이내에 80% 충전 가능, 충전 시간 단축.
안전성 향상: AI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독자적인 액체 전해질을 통합해 안전성과 배터리 수명 연장.
비용 효율성: 기존 Li-ion 배터리와 유사한 제조 기술을 활용해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 가능.
회사의 고객사는 누구인가?
SES의 주요 고객 대상은 주요 자동차 및 UAM 제조사(OEM)이며, 기존 파트너십은 다음과 같다.
제너럴모터스(GM): 2015년부터 협력해 왔으며, GM은 SES에 7천만 달러 이상 투자.
현대자동차: SES에 5천만 달러 투자 및 배터리 개발 협력.
혼다: SES PIPE 파이낸싱에서 단일 최대 투자자로, 7천5백만 달러 투자.
SES AI 비즈니스 전략은 무엇인가?
![Screenshot 2024 12 31 at 9.37.02 AM](https://stockboy.co.kr/wp-content/uploads/2024/12/Screenshot-2024-12-31-at-9.37.02 AM-1024x356-optimized.png)
1. A-Sample에서 C-Sample로의 전환: A-Sample은 OEM(완성차 제조사)의 기술 사양에 따라 개발된 프로토타입이고, B-Sample은 실제 차량에 테스트될 수준의 배터리이다. SES는 2024년에 B-Sample 배터리를 개발 및 초기 생산하고, 2026년에는 C-Sample 생산을 시작하며, 2027년에 상업적 제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
*C-Sample: B-Sample을 개선한 최종 단계로, 대량 생산 및 상업화를 목표로 하며, 차량에서 완벽한 성능 테스트를 거침.
2. 상하이(중국)와 충주(한국)에서 파일럿 시설을 운영하여 배터리 제조 공정을 발전시키고 대량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3. GM, 현대자동차, 혼다와 협력하여 Li-Metal 배터리 기술을 공동 개발. 이러한 협력 관계를 통해 배터리 기술의 신뢰성과 성능을 보장하며 시장 수용성을 높임.
SES AI 주가에 미치는 리스크 요인 무엇인가?
1. SES는 2027년 상업적 생산을 목표로 리튬-메탈 배터리를 개발 중이지만, 기술적 문제나 제조 공정 최적화 지연이 상업화 일정을 늦출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아직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단계로, 지속적인 적자와 추가 자금 조달 필요성이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2. 경쟁 측면에서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사(CATL, LG에너지솔루션 등)와 신생 리튬-메탈 기술 기업(QuantumScape 등)과의 기술 경쟁이 치열하며, 이는 SES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현재 협력 중인 GM, 현대차, 혼다와의 파트너십이 지속되지 않거나 OEM이 다른 기술을 채택할 경우, SES의 사업 전망이 악화될 수 있다.
3.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공급망 문제, 그리고 환경 및 안전 규제 강화는 SES의 비용 상승과 일정 지연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술적 실패 가능성과 투자자 신뢰 하락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SES AI 실적 (Income Statement)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0 | 0 | 0 | 0 |
총 영업비용 | 0 | 7 | 80 | 78 |
영업이익 | -0 | -7 | -80 | -78 |
영업외 이자수익(비용) | – | -3 | 6 | 17 |
기타 | – | -1 | 24 | 7 |
세전이익 | -0 | -12 | -50 | -54 |
법인세비용 | – | – | 1 | -1 |
세후이익 | -0 | -12 | -51 | -53 |
경상이익 | -0 | -12 | -51 | -53 |
순이익 | -0 | -12 | -51 | -53 |
SES AI 주가 전망을 하기위해 손익계산서를 분석하자.
회사는 매출액이 아직 0원이며 매년 순이익 적자만 기록하고 있다. 이런점을 고려해서 투자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SES AI 최근 배당률 및 지급일
SES AI 기업은 아직까지 배당금을 지급한 적이 없다.
전기차 이차전지 산업 성장 전망
![Screenshot 2024 12 31 at 9.40.19 AM 1](https://stockboy.co.kr/wp-content/uploads/2024/12/Screenshot-2024-12-31-at-9.40.19 AM-1-1024x445-optimized.png)
리튬-메탈 배터리는 향후 EV와 UAM 시장 성장의 중심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SES와 같은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 기업은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 SES AI의 타겟 시장인 EV배터리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1조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은 도심 내에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비행체(eVTOL)로, 도로 교통 체증을 해결하는 혁신적인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UAM 시장에서 고성능, 경량화된 배터리가 필수적이며, 리튬-메탈 배터리는 적합한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SES AI 경쟁사 비교
SES와 마찬가지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개발 중인 신생 기업들로, 주로 리튬-메탈 및 고체 배터리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퀀텀스케이프: 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의 선두주자로, 폭스바겐과 협력하여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솔리드파워: 고체 배터리 기술을 EV 및 항공우주 시장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 중이며, BMW와 Ford와 같은 주요 OEM과 협력.
Sila Nanotechnologies: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실리콘 기반 음극을 개발 중이며,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중점.
앰프리어스 테크놀로지스: 실리콘 나노와이어 음극 기술을 통해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하며, 특히 에너지 밀도 향상에 주력.
에노빅스: 3D 실리콘 구조 기반 배터리를 개발하며, 고효율 및 고밀도 배터리를 목표로 함.
SES AI 주가 전망에 미치는 요소는?
1. SES는 리튬-메탈 배터리의 상업 생산을 2027년으로 목표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과제(예: 덴드라이트 형성 문제, 안정성 강화 등)와 생산 공정 최적화가 지연된다면 상업화 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2. 전기차 시장은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와 소비자 수요 증가로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UAM 시장도 초기 단계이지만 성장 가능성이 크다. SES가 이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면 기업 가치는 크게 상승할 수 있다.
3. SES는 아직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단계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및 생산 설비 구축을 위한 자금이 필요하다. SES가 계획대로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거나, 자금 조달 과정에서 주식 희석이 발생하면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주식 투자로 돈 번 투자자는?](https://stockboy.co.kr/wp-content/uploads/2024/05/주식투자-현실-optimized.jpeg)
위 사진은 증권사에서 가져온 통계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100명이 참가하면 75명은 손실을 보고, 20%는 은행 이자 수준을 달성한다. 오직 5명이 막대한 투자 수익을 가져간다. 당신은 세 그룹에서 어디에 속하는가? 당연히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손실 그룹에 속할 가능성 높다.
아래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고 자신의 투자스타일을 반성해보자. 내가 투자 공부(노력)도 안하고 5% 안에 들어갈 생각을 안했는지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