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기업 분석과 전망 재무제표 배당금

아마존 기업 분석과 전망, 재무제표, 배당금에 관한 정보입니다. 아마존 기업 분석을 통해 이 초거대 기업이 어떻게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지 그리고 아마존 성공 전략과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상세히 파헤칩니다. 현재 보유종목 수익은 홈페이지에 있으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업 모델 (Business Model)

아마존 기업 분석
아마존 사업모델

기업 분석을 위해 사업 모델을 분석하자.

아마존은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업체로 매우 다양한 소비자 및 기업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마존은 세가지 주요 사업 부문으로 운영된다. 북미에서 온라인 및 매장을 통한 소비자에게 판매, 국제(International)에서 다양한 소비자 판매, 아마존 웹 서비스(AWS)로 클라우드 컴퓨팅 및 관련 기술 서비스 제공을 한다.

소비자에게 수백만 종류의 상품을 제공하고, 빠르게 무료로 배송하여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전자기기 Kindle, fire tablet, fire TV, echo 등 제품을 자체 제조 판매한다.

콘텐츠 제작을 개발 및 생산하고 아마존 프라임과 같은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의 경쟁 요소로는 제품 선택의 폭, 가격, 편의성이 있다.

실적 (Income Statement)

항목2023년2022년2021년2020년2019년
매출574.785B513.983B469.822B386.064B280.522B
상품 매출 원가304.739B288.831B272.344B233.307B165.536B
총 이익270.046B225.152B197.478B152.757B114.986B
총 운영 비용233.133B212.904B172.599B129.858B100.445B
판매 관리비146.805B138.428B116.485B87.193B64.313B
연구 개발비85.622B73.213B56.052B42.74B35.931B
기타 소득 및 비용-111M-2.596B3.162B1.503B-8M
기타 운영 비용0.001.263B62M-75M201M
순이자 소득816M-15.588B10.11B-224M-557M
세전 순이익37.557B-5.936B38.151B24.178B13.976B
소득세 비용7.12B-3.217B4.791B2.863B2.374B
세후 순이익30.437B-2.719B33.36B21.315B11.602B
순이익30.425B-2.722B33.364B21.331B11.588B

기업 분석을 하기위해 실적을 분석하자.

매해 매출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2022년에 순이익이 마이너스였다.

연도상품 매출 원가율 (%)순이익률 (%)
2023년53.01%5.29%
2022년56.20%-0.53%
2021년57.97%7.11%
2020년60.46%5.53%
2019년59.01%4.13%

회사의 매출원가율은 53~60%의 수준이다. Amazon의 긍정적인 점은 상품 매출 원가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순이익률은 0~7%로 수준이다. 2022년을 제외하면 평균 5%의 순이익률을 보여준다. 원래 유통업 특성상 순이익률이 높기 힘들다.

매출액& 매출 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

연도매출액 증가율 (%)매출 원가 증가율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율 (%)
2023년11.83%5.51%6.05%
2022년9.38%7.08%19.01%
2021년21.71%16.70%33.56%
2020년37.69%41.09%35.67%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매출액 증가율, 매출원가 증가율, 판관비 증가율의 평균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평균 매출액 증가율 : 20.15%
  • 평균 매출 원가 증가율: 17.60%
  • 평균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율: 23.57%

Amazon은 유통업이다. 자신들이 물건을 만들어서 파는게 아니라 기업과 개인의 완제품을 사서 소비자에게 연결해주는 회사다. 평균 매출액이 증가하면 그에 비례하게 매출 원가와 판관비가 증가한다. 해석을 해보면 아마존은 순이익률을 크게 개선할 수 없는 비즈니스 모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아마존도 새로운 먹거리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연도별 주가 상승률

연도주가 상승률 (%)
2023년80.88%
2022년-49.61%
2021년2.38%
2020년76.26%
2019년23.03%
2018년28.43%
2017년55.96%
2016년10.95%
2015년117.78%
2014년-22.18%

회사 주식은 10년동안 매년 평균적으로 32%의 주가를 상승했다. 만약 2014년에 1억원을 아마존에 투자했다면 2023년에는 약 16억5000만원이 되었다. 좋은회사에 장기투자를 해야하는 이유다.

그럼 좋은회사는 어떻게 알아볼 수 있나? 지독하게 자기 시간을 갈아넣어서 공부를 해야한다. 쉽게 얻는건 세상 어디에도 없다. 공짜는 언젠간 탈이 나게 되어있다.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항목2023년2022년2021년2020년2019년
유동 자산 총계172.351B146.791B161.58B132.733B96.334B
현금 및 단기 투자86.78B70.026B96.049B84.396B55.021B
현금 및 현금 등가물73.387B53.888B36.22B42.122B36.092B
단기 투자13.393B16.138B59.829B42.274B18.929B
총 매출채권46.356B42.002B32.649B24.309B20.54B
재고33.318B34.405B32.64B23.795B20.497B
기타 유동 자산5.897B358M242M233M276M
자산 총계527.854B462.675B420.549B321.195B225.248B
유형자산276.69B252.838B216.363B150.667B97.846B
무형자산7.687B6.097B5.107B4.981B4.049B
유동 부채 총계164.917B155.393B142.266B126.385B87.812B
채무 총계325.979B316.632B282.304B227.791B163.188B
주주 자본201.875B146.043B138.245B93.404B62.06B
자본과 부채 총계527.854B462.675B420.549B321.195B225.248B

기업 분석을 위해 재무상태표 역시 분석해야 한다.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아마존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1. 자산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Amazon이 시장에서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2. 현금 및 단기투자가 유동 자산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아마존은 유동성이 높고, 재무 안전성이 높다.

3. 부채는 자산의 약 62% 비율이다.

손익계산서와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사업 모델 장점 및 단점

기업의 정성적 분석을 하면 아마존 주가 전망을 할 수 있다. 아래 10개의 판단기준의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1. 무형자산의 유무 (브랜드 가치, 특허 기술, 디자인, 소프트웨어)

무형자산이란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회사에 가치를 제공하는 자산을 말한다.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의 특징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은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 소비자들 사이에서 신뢰받는 이름이다. 아마존은 방대한 고객 데이터베이스와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고객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며 이러한 기술적 우위는 경쟁사가 쉽게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을 제공한다.

2. 전환비용 유무

전환 비용은 소비자가 한 제품에서 다른 제품으로 바꿀 때 발생하는 비용이나 불편함을 말한다.

아마존프라임과 같은 구독 서비스는 고객이 지속적으로 Amazon을 이용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다른 경쟁사 플랫폼으로 옮기기가 어렵다.

3.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 효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그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Amazon의 플랫폼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많을수록 그 가치가 더욱 증가한다. 물건이 다양하면 더 많은 소비자가 유입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판매자를 끌어들인다. 아마존 프라임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고객 충성도를 증가시키는 네트워크 효과를 발생시킨다.

4. 원가우위

경쟁사보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회사

회사는 그 규모와 범위 덕분에 대량 구매, 물류, 배송에서 비용 효율성을 달성한다. 이것은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고, 낮은 비용으로 소비자에게 더 낮은 가격을 제공할 수 있다. 대규모 운영을 통해 아마존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사들보다 더 효율적인 비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5.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인가?

아마존 성장단계

회사의 산업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가 아마존 기업 분석에 가장 중요하다. 100번을 중요하다고 말해도 부족하다.

Amazon의 유통사업은 성장기 산업이 아니라 성숙기에 해당하는 사업이다. 최근 2년간 약 10%의 매출액 성장률을 보여주었다.

6. 지역 확장성, 상품 확장성이 가능한가?

내수용 or 글로벌용 글로벌
회사의 사업 모델 갯수 3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내수에만 의존하는지 전 세계에 수출하는지에 따라 적정 PER이 달라진다. 지역 확장성이 높을수록 PER 프리미엄을 받는다. 그래서 아마존 기업 분석시 확장성을 꼭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회사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장사를 한다.

7. 아마존 창업자의 경영철학

Amazon은 ‘지구상에서 가장 고객 중심적인 회사’ 를 목표로 하며, 고객 중심의 사고방식, 발명에 대한 열정, 운영의 우수성 추구, 장기적 사고를 네가지 핵심원칙으로 삼고 있다.

주가를 역대급 우상향하게 만든 훌륭한 창업자의 특징을 알고 싶다면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8. 경쟁사와 가치 비교 (Valuation)

경쟁회사의 유무는 기업 분석에 매우 중요하다.

2023년아마존알리바바쿠팡
매출574.785B120.022B24.383B
PER63.4313.0530.01
ROE15.079.8933.26
배당률0%1.44%0%
2023년 주가 수익률80.88%-10.83%10.06%

미국의 Amazon, 중국의 알리바바, 한국의 쿠팡을 비교해보았다. 사실 3개의 기업은 온라인 유통업으로 비슷하지만 시장 규모의 크기가 엄청나게 차이나기 때문에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쿠팡은 아마존 매출에 비해 20분의 1수준이다.

9. 아마존 주가 상승 이유

1) 강력한 AWS 성장, 광고 수익의 증가, 전자상거래 부문의 확장을 한다면 아마존 주가는 상승할 것이다.

10. 아마존 주가 하락 이유 (정부 통제, 경영자 도덕적 헤이 등)

1) 아마존이 현재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잃는다면 주가는 하락할 수 있다.

2) 새로운 산업에서 경쟁자에게 밀린다면 아마존 주가는 하락할 것이다.

모르면 손해보는 주식 기초정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