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재무 분석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 스타벅스 손익계산서 분석 글입니다. 회사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분석하여 왜 현재 스타벅스가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박스권인지 알아봅니다. 그 외 주린이가 봐야할 기초 정보와 저의 수익률은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손익계산서 분석

최근 3년 실적

항목/연도2019-09-292020-09-272021-10-032022-10-022023-10-01
매출액26.509B23.518B29.061B32.25B35.976B
매출원가19.021B18.399B20.625B23.865B26.106B
판매비와관리비3.572B3.542B3.734B3.922B4.343B
영업이익3.916B1.577B4.702B4.463B5.526B
영업이익률14.77%6.71%16.18%13.84%15.36%
당기순이익3.599B928M4.199B3.282B4.125B

스타벅스 재무제표 분석 첫 단계는 손익계산서를 확인해야 한다.

회사의 최근 5년 매출액을 분석해보면 2020년 코로나 기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2020년을 제외하고 대략 13~16%의 범위에서 오르락 내리락 한다.

다만 회사의 당기순이익은 2021년 최고치를 기록하고 상승하지 못하고 있다.

스타벅스 월봉 차트

스타벅스 차트를 분석해보면 최고점을 기록했던 시기가 2021년 7월달이다. 즉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고 박스권에 갇혀있는 이유가 당기순이익이 2021년보다 증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률 추이 비교

연도2020-09-272021-10-032022-10-022023-10-01
매출액 증가율-11.28%23.57%10.99%11.57%
영업이익 증가율-59.72%198.04%-5.09%23.84%

최근 5년동안 스타벅스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 증가율을 분석해보자. 최근 2년동안 매출액 증가율이 10% 대로 매우 둔화되었다. 매출액 성장률이 낮아지면 투자자들도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대하지 않는다.

2021년 매출액 증가율이 23%를 보여주었던 이유는 2020년에 매출액이 코로나로 인해 2019년 대비 역성장했기 때문에 기저효과(Base Effect)다. 쉽게 말해 2020년 매출이 낮았기 때문에 수치가 매우 높아보인다.

연도별 매출원가율& 판매비와관리비율

항목 연도2019-09-292020-09-272021-10-032022-10-022023-10-01
매출원가율71.74%78.23%70.97%74.02%72.56%
판매비와 관리비율13.48%15.06%12.85%12.16%12.08%
스타벅스 매출 원가율, 판관비율

스타벅스의 매출 원가율은 5년동안 70~78%의 수준으로 보여주고 있다. 회사의 원재료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일까?

회계연도종료일2023 102022 10 2023 102022 10
운영비용금액(백만달러)금액(백만달러)총순매출대비비율총순매출대비비율
제품 및 유통 비용11,409.110,317.431.7%32.0%
매장 운영비용14,720.313,561.840.9%42.1%
기타 운영비용539.4461.51.5%1.4%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1,362.61,447.93.8%4.5%
일반 및 관리비용2,441.32,032.06.8%6.3%
구조조정 및 손상비용21.846.00.1%0.1%
총운영비용30,494.527,866.684.8%86.4%

스타벅스 사업보고서에서 운영비(매출원가+판매비관리비)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제품 및 유통 비용, ‘매장 운영비용’이 있다.이 두 개의 항목이 대략 70%를 차지한다.

매출 원가율, 판관비율이 매년 최소한 유지되는 기업 또는 매년 감소하는 회사가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수 있다. 반드시 매출원가율과 판매비와 관리비율을 계산해야하는 이유다.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

항목 /연도2020-09-272021-10-032022-10-022023-10-01
매출액 증가율-11.28%23.57%10.99%11.57%
매출원가 증가율-3.27%12.06%15.69%9.40%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율-0.84%5.43%5.03%10.76%

스타벅스는 판관비보다는 매출원가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매출원가 증가율을 유심히 지켜봐야 한다. 매출액 증가율보다 매출원가 증가율이 낮다면 그 해 영업이익률은 높게 나올 것이고 반대로 매출액 증가율보다 매출원가 증가율이 더 높다면 이익률은 하락할 것이다.

매출액(판매수량)이 증가하는 만큼 매출원가(원재료)가 증가한다면 변동비형 기업이다. 이런 기업은 영업이익률이 커지기 힘들다. 예) 제조업, 건설업, 의류업, 식품업, 유통업 등

현금흐름표 분석

현금흐름표 분석은 시간에 따라 회사에 들어오고 나가는 현금의 흐름을 보여준다. 재정 건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스타벅스 영업활동 현금흐름

회계연도종료일2023 10 2022 10 2021 10
운영활동:


당기순이익 $4,124.7$3,283.4$4,200.3
순이익 조정을 통한 운영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감가상각 및 상각1,450.31,529.41,524.1
이연 법인세, 순액(59.4)(37.8)(146.2)
지분법 투자수익(301.8)(268.7)(347.3)
지분법 투자수익 분배금222.8231.2336.0
자산 매각 이익(91.3)
특정 운영 매각에 따른 순이익(864.5)
주식기반 보상302.7271.5319.1
비현금 임대 비용1,365.91,497.71,248.6
자산 퇴직 및 손상 손실101.491.4226.2
기타26.8(67.8)(6.0)
운영 자산 및 부채의 변화로 인한 현금:


매출채권(4.1)(326.1)(43.0)
재고자산366.4(641.0)(49.8)
법인세 납부액52.5(149.6)286.1
매입채무100.1345.5189.9
이연수익(110.8)(75.8)(6.1)
운영 임대 부채(1,443.8)(1,625.6)(1,488.1)
기타 운영 자산 및 부채(93.7)339.6609.8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6,008.74,397.35,989.1

당기순이익과 영업활동 현금흐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왜냐하면 비현금 거래(감가상각비)와 운전자본과 같은 항목 때문이다.

스타벅스는 당기순이익보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이 더 높다. 왜 더 높아졌는지는 위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스타벅스 투자활동 현금흐름

투자활동:


투자 매입(610.5)(377.9)(432.0)
투자 매각2.572.6143.2
투자 만기 및 상환616.967.3345.5
유형자산 및 설비 추가(2,333.6)(1,841.3)(1,470.0)
자산 매각 대금110.0
특정 운영 매각으로 인한 순수익59.31,175.0
기타(56.1)(126.3)(81.2)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2,270.8)(2,146.3)(319.5)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 및 유출이 발생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면 미래를 위한 자산에 투자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현금흐름이 플러스(+)이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매각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스타벅스는 주로 유형자산 및 설비 추가에 많은 돈을 매년 사용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투자 매입에 돈을 매년 지출한다.

스타벅스 재무활동 현금흐름

재무활동:


상업어음 발행(순지급)/순수익(175.0)175.0(296.5)
단기 부채 발행 순수익114.636.6215.1
단기 부채 상환(78.8)(36.6)(349.8)
장기 부채 발행 순수익1,497.81,498.1
장기 부채 상환(1,000.0)(1,000.0)(1,250.0)
보통주 발행 순수익167.4101.6246.2
현금 배당 지급(2,431.8)(2,263.3)(2,119.0)
보통주 매입(984.4)(4,013.0)
주식 기반 보상에 대한 최소세액 원천징수(89.3)(127.2)(97.0)
기타(11.1)(9.2)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2,990.6)(5,638.0)(3,651.0)

스타벅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매년 마이너스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주로 주주를 위해 현금 배당 지급, 보통주 매입, 장기 부채 상환에 많은 자금을 지출한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대비 투자활동, 재무활동 현금흐름 비율

연도운영활동으로인한순현금 (백만달러)투자활동비율 (%)재무활동비율 (%)
20236,008.7-37.79-49.77
20224,397.3-48.81-128.22
20215,989.1-5.33-60.96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돈을 100% 기준으로 하여, 회사가 투자활동, 재무활동에 몇 % 돈을 사용하는지 계산해봤다. 일반적으로 회사가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 투자 비율이 높다면 주주에게 돌아갈 몫이 작아진다.

회사는 최근 2년 37~48% 비율로 현금을 사용하고 있다.

재무상태표 분석

재무상태표 분석은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자산총계, 부채총계

항목20232022
자산총계$29,445.5$27,978.4
부채총계$37,433.3$36,677.1

스타벅스는 애플처럼 자산보다 부채총계가 더 높은 기업으로 유명하다. 부채가 더 높은 이유의 자세한 설명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자산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금액 ($M)비율 (%)
현금 및 현금성 자산3,551.512.06%
단기 투자401.51.36%
매출 채권, 순1,184.14.02%
재고자산1,806.46.13%
선급비용 및 기타 유동 자산359.91.22%
장기 투자247.40.84%
주식 투자439.91.49%
유형 자산7,387.125.09%
운영 리스 사용권 자산8,412.628.57%
이연 법인세 자산, 순1,769.86.01%
기타 장기 자산546.51.86%
기타 무형 자산120.50.41%
영업권3,218.310.93%
자산 총계29,445.5100.00%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총계에서 높은 비중 순서를 말하면 운영 리스 사용권, 유형 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영업권, 재고자산이다. 현금성 자산은 우리나라 원화로 약 4.6조원 이상이다. (환율 1$ =1300원으로 계산했을 시)

유형자산이 많은 업종, 무형자산이 많은 업종에 대한 특징은 글 하단 링크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부채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금액 ($M)비율 (%)
매입 채무1,544.34.13%
미지급 비용2,145.15.73%
미지급 급여 및 복리후생828.32.21%
운영 리스 부채의 현재 부분1,275.33.40%
선불 카드 부채 및 이연 수익의 현재 부분1,700.24.55%
단기 부채33.50.09%
장기 부채의 현재 부분1,818.64.87%
장기 부채13,547.636.20%
운영 리스 부채7,924.821.17%
이연 수익6,101.816.30%
기타 장기 부채513.81.37%
부채 총계37,433.3100.00%

스타벅스 부채에서 가장 많은 비율은 장기부채, 운영 리스 부채, 이연 수익, 미지급 비용 순서다. 장기부채는 1년 이상 걸처 갚아야 하는 대출금을 의미한다.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주식투자를 할 때 기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야 한다. 숫자만 보고 투자를 했다가 주가가 오르지 않는 가치투자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스타벅스의 정성적 분석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스타벅스 주식 하락한 이유

스타벅스

정량적 분석을 통해 주가가 상당기간 오르지 않았던 이유는 매출액 성장률이 둔화되고 순이익이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순이익이 증가하지 않았던 이유는 매출원가율 증가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 매출원가에 해당하는 것은 주로 커피 원두, 인건비, 매장을 빌려 사용하는 리스 비용이다. 어떻게 하면 이 부분을 장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지 회사는 고민을 해봐야 한다.

주식초보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초정보

Leave a Comment